세상물정의 사회학

세상물정의 사회학
아이러니하게도 책 읽을 여유가 없을 때에도 한 달에 한 두 권씩은 책을 구입했었는데, 상대적으로 책 읽을 여유가 생긴 요즘에는 책을 거의 사지 않고 있다. 되돌아보면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는 강박(핑계에 가깝지만)을 책을 고르는 것으로 해소해왔던 셈이다. 그래서 밀린 숙제를 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고 있다.

나의 불행의 근원이 모두 기구한 팔자 때문이라고 믿게 만드는 환등상의 불을 끄고 그 어둠 속에서 세속의 리얼리티와 마주칠 때 그리고 ‘콜드 팩트’를 찾아낼 때 우리는 비로소 힐링의 대상은 나의 마음이 아니라 각자가 살고 있는 사회임을 깨닫게 된다. ‘세상물정의 사회학’은 죄가 없는 개인들이 죄가 많은 사회에게 불만을 말하는 애처러운 시도이다. 모두가 리얼리티에서 눈을 돌리고 위안을 찾기 위해 위안의 노래만을 듣는 시대에 사회학자는 ‘콜드 팩트’를 혼자 부르고 있다. 그 외로운 노래가 합창이 될 때, 상처받은 사회는 비로소 자기 치유의 길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p.266)

이직을 하고 노르웨이에 출장 겸 여행을 갔을 때 마침 오슬로의 시장 선거 기간이었다. 저녁 식사를 하던 식당 옆 거리로 각자 지지하는 정당 고유의 옷을 입고 축제를 하듯 지나가는 행렬을 보면서 우리와는 참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2주 간 그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보면서 성숙한 사회가 보여주는 따뜻함과 우아함에 경외감과 부러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그 마음은 한국으로 돌아와서 ‘그럼 나는 무엇을 해야할까’라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그 질문에는 아직도 구체적인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회 이슈에 귀 기울이고 선거에 한표를 올바르게 행사하는 것 정도가 현재 하고 있는 소극적인 노력이다.
‘세상물정의 사회학’을 읽으면서 사회에 대한 소극적인 나의 행동이 이기주의로 변모하기 쉽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에 분노하지만 그 사회를 바꾸는 방법을 고민하기 보다, 그 안에서 보란듯이 잘 살아가는 것이 이 사회를 비웃는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합리화를 한 적이 많았던 것 같다.

국가가 개인을 보호하지 않을 때, 설상가상 보호하기는커녕 국가가 악행의 근원일 때, 국가로부터 돌아앉은 개인은 대체 무엇을 바라봐야 하는 것일까? 어떤 이는 국가가 개인을 돌보지 않을 때 이기주의로 후퇴한다. IMF 관리체제 이후 한국인의 상식은 적어도 그렇다. 한국인은 국가가 나를 보호해 주지 않는다면, 오직 부만이 나를 보호해 줄 수 있다는 교훈을 얻었다. 그러한 이기적 상식은 해결책은 아니다. (p.220)

이 책은 나와 같은 소시민에게 사회 문제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한다고 선동하지는 않는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은 소시민 각자가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세상물정의 사회학
– 세속을 산다는 것에 대하여
노명우 / 사계절출판사

2016년

2015년은 우리 가족에게 큰 일이 많은 한 해였다.
나는 7년 넘게 다니던 회사를 나와서 작은 외국계 회사로 이직했고,
시아는 여름에 폐렴을 크게 앓아서 응급실과 입원실에 한동안 머무르기도 했다.
폐렴 때문에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가족과 함께 했던 노르웨이 출장은 미국 여행과는 다른,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갖게 만들었다.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 삶인가?’하는 것은 이직한 이후로 퇴근길마다 내 머릿 속을 맴도는 질문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2015년은 라파엘이란 이름으로 내가 새로 태어난 해이기도 하다.
나를 오랫동안 알던 분이라면 당황해 할 변화일지 모르겠지만, 난 변화라기보다 나에게 맞는 옷을 찾은 것이라 이야기하고 싶다. 내 안의 중심은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으니까.
벌써 3개월이나 지난 2016년, 올해는 또 어떤 생활이 펼쳐질지 모르겠지만, 올해는 그동안 미뤄왔던 책들을 많이 읽고 삶에 대한 고민을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

첫 등원

터전이라 불리는
어린이집에서의 첫날…
엄마도…
너도…
관계속에서 자라기를 시작했다…
앞으로
눈물날 일도, 상처날 일도 많겠지만
그래도 3년뒤엔 한껏 성장한다니
그것으로 충분하다…
높은기대와 바람은 잠시 접고
하루하루를 즐겁게 신나게 보내자…
완벽하지 않은 다섯살, 내 딸 김시아…
사랑해 그리고 축하해…

2014년

그동안 찍어 놓은 가족 사진을 보고 있으면 시아가 부쩍 컸음을 새삼 느낀다.

아이의 성장에 놀랍고 기쁘면서 한편으로는 이렇게 작고 귀여운 시절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에 아쉽기도 하다. 그래서 2014년에는 틈틈이 시간을 내서 사진도 많이 찍고 나들이도 가려고 노력했다. 그래도 아이의 삶의 밀도는 어른의 그것보다 훨씬 높아서, 그 때마다 달라지고 성장한 모습에 놀라곤 한다.

새해에는 나도 시아처럼 매일밤 새로운 내일을 기대하면서 소중하게 하루하루를 보낼 것을 다짐해본다.

– 2014년 5월과 12월

5월

12월

공동육아

유난이라고 할 수 있겠고

궁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내년이면 다섯살이 되는 시아…

각종 교육기관이 넘쳐나는 이 동네에서

공동육아라니…

시설도 프로그램도 허술할진 모르겠지만…

시아가 세상과 소통하며

타인에 대한

세상에 대한

자연에 대한

공감과 배려가 있었으면 하는것이

우리부부의 바람이라면 바람이다…

다섯살 꼬마가 생각보다 자율적으로

해야할 일들이 많겠지만

그또한 즐겁길…

그래서 행복하길…

터전의 OJT를 치루고 돌아가는길이

너무 무겁지도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