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러니하게도 책 읽을 여유가 없을 때에도 한 달에 한 두 권씩은 책을 구입했었는데, 상대적으로 책 읽을 여유가 생긴 요즘에는 책을 거의 사지 않고 있다. 되돌아보면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는 강박(핑계에 가깝지만)을 책을 고르는 것으로 해소해왔던 셈이다. 그래서 밀린 숙제를 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고 있다.
나의 불행의 근원이 모두 기구한 팔자 때문이라고 믿게 만드는 환등상의 불을 끄고 그 어둠 속에서 세속의 리얼리티와 마주칠 때 그리고 ‘콜드 팩트’를 찾아낼 때 우리는 비로소 힐링의 대상은 나의 마음이 아니라 각자가 살고 있는 사회임을 깨닫게 된다. ‘세상물정의 사회학’은 죄가 없는 개인들이 죄가 많은 사회에게 불만을 말하는 애처러운 시도이다. 모두가 리얼리티에서 눈을 돌리고 위안을 찾기 위해 위안의 노래만을 듣는 시대에 사회학자는 ‘콜드 팩트’를 혼자 부르고 있다. 그 외로운 노래가 합창이 될 때, 상처받은 사회는 비로소 자기 치유의 길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p.266)
이직을 하고 노르웨이에 출장 겸 여행을 갔을 때 마침 오슬로의 시장 선거 기간이었다. 저녁 식사를 하던 식당 옆 거리로 각자 지지하는 정당 고유의 옷을 입고 축제를 하듯 지나가는 행렬을 보면서 우리와는 참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2주 간 그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보면서 성숙한 사회가 보여주는 따뜻함과 우아함에 경외감과 부러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그 마음은 한국으로 돌아와서 ‘그럼 나는 무엇을 해야할까’라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그 질문에는 아직도 구체적인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회 이슈에 귀 기울이고 선거에 한표를 올바르게 행사하는 것 정도가 현재 하고 있는 소극적인 노력이다.
‘세상물정의 사회학’을 읽으면서 사회에 대한 소극적인 나의 행동이 이기주의로 변모하기 쉽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에 분노하지만 그 사회를 바꾸는 방법을 고민하기 보다, 그 안에서 보란듯이 잘 살아가는 것이 이 사회를 비웃는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합리화를 한 적이 많았던 것 같다.
국가가 개인을 보호하지 않을 때, 설상가상 보호하기는커녕 국가가 악행의 근원일 때, 국가로부터 돌아앉은 개인은 대체 무엇을 바라봐야 하는 것일까? 어떤 이는 국가가 개인을 돌보지 않을 때 이기주의로 후퇴한다. IMF 관리체제 이후 한국인의 상식은 적어도 그렇다. 한국인은 국가가 나를 보호해 주지 않는다면, 오직 부만이 나를 보호해 줄 수 있다는 교훈을 얻었다. 그러한 이기적 상식은 해결책은 아니다. (p.220)
이 책은 나와 같은 소시민에게 사회 문제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한다고 선동하지는 않는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은 소시민 각자가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세상물정의 사회학
– 세속을 산다는 것에 대하여
노명우 / 사계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