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시내버스


bus.jpg
평소 버스 타는걸 좋아하는 나는 사실
버스기사님들에 대한 반감이 적지 않게 있었다.
괜히 혼날까봐 잽싸게 타고, 미리 벨을 누르고 문앞의 봉을 꼭 부여잡고 후다닥 내린다.
이런 나의 습관이 유럽 특히 영국에 갔을때도 어김없이 발휘되어
문이 열리기도 전에 발을 내밀어 창피하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그들은 2층버스임에도 정류장에서 도착하여 문이 열렸을때
비로소 2층에서 내려온다.
말그대로 문화충격이었다.
왜 우린 그게 안될까…
버스기사님들이 나빠서 일까?
‘빨리빨리’ 라는 일명 한국인의 습성 때문일까?
라고 부정적으로만 생각했던 나의 물음에 대한 정답이 바로…
‘거꾸로 가는 시내버스’에 있었다.
노선을 물을때 왜 버스기사님들이 그렇게 퉁명스럽게 대하는지…
쾌속질주를 하며 정거장을 지나치는지…
제때 제때 내리지 못하면 구박을 받아야 하는지…
덥고, 추운데도 버스에 냉방과 난방을 작동시키지 않는지…
솔직하고 꾸밈없는 20년 버스기사 경력의 지은이의
이야기는 새해를 여는 1월 나에게 꽤 큰 깨달음을 주었다.
반감과 긴장된 맘으로 휙~ 하고 버스를 타는 나도
내일아침엔 그들에게 ‘안녕하세요~’라는 말을 건네며
탈 수 있는 용기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테면 일산-대곡로-수색-모래내-연세대-시청, 이렇게 써놓으면
사람들은 머리 속에 그 노선 지도가 그려진다.
그런데 동그라미 안에다 ‘이마트’, ‘연세대’ 이렇게 써놓으면 그게 어디서 어디로 가는 차인 줄 아나.
‘빨강’ 하고 둘째 자리 번호가 ‘7’이면 일산이나 원당에서 오는 차인줄 안다고?
에라이 또라이들아. 그건 시에서 니들이 관리할 때나 써 먹어라.
시민들은 자기가 가는 차 번호를 외우지 그런 걸 외울리가 없다.
게다가 같은 번호 ‘7’이라도 일산과 원당은 전혀 다른 곳이고
같은 ‘6’지역이라도 인천과 시흥은 의정부와 임진각 같은 차이다.
빨강차는 R, 파랑차는 B는 또 뭔가.
왜 빨강차는 ㅃ 파랑차는 ㅍ 라고 해놓지. 미국 물을 먹었냐 영어 첫 글자를 써 놓게.
열 받은 어떤 네티즌은 G, R, Y, B 그 영어 첫 글자를 따서
‘지, 랄, 염, 병’ 으로 버스에다 그려놓았는데 어쩌면 그렇게 딱 들어맞는지 모르겠다.
– 개판 (page. 78)

거꾸로 가는 시내버스
안건모 글, 최호철 그림 | 보리 | 2008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